워크숍 참가 지원 안내

  • 개론 강의와 별도의 지원 신청을 받습니다.
  • 신청 시스템 상 정원/대기 인원 구분은 무시하세요. 전체 신청서를 받은 후 워크숍에 적합한 수강생을 선발, 개별 연락 드립니다.

 

컴퓨테이션 워크숍 확장판: 자원으로서의 공간

건축에서 컴퓨테이션은 흔히 ‘흥미롭고’, ‘창의적인’ 형태를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그것은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를 만드는 일처럼 건축에서 늘 예외적 ‘사건’입니다. 제 경험상 건축 컴퓨테이션이 강점은 ‘최적화’의 영역에 있습니다. 어떤 사이즈의 방이 쾌적한지, 어떤 치수가 재료를 절약하는지를 아는 것은 건축의 "일상"이며 컴퓨터가 잘하는 일입니다. 이런 영역에 컴퓨테이션을 활용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는 ‘건축에 대한 정량적인 이해’입니다.

 

본 워크숍은 기존 워크숍을 ‘건축’ 쪽으로 확장한 버전입니다. 기존 컴퓨테이션 워크숍에 앞서 두 번 수업을 추가해 자신의 설계 컨셉을 ‘크기’의 관점에서 비추어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핸드 드로잉, 모델링 같은 기존 표현 수단에 Fologram을 활용한 AR을 접목해봄으로써 새로운 방식으로 스케일 감각을 익히며, '자원으로서의 공간과 재료'를 이해하게 됩니다.

 

이후 4회 수업에서는 라이노, 그래스호퍼 환경에서 파이썬을 구동하는 방법을 익히고, 지오메트리 데이터를 정량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 건축 공간과 환경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이 과정에서 단순히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것을 넘어 학생 스스로 건축에서 컴퓨테이션을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을 찾고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모집 및 진행 안내

본 워크숍은 2주간의 사전 과제와 3주간의 실습 수업과 이루어져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초심자도 수강할 수 있지만 수업과 과제의 밀도가 높아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니, 지원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5~6인 소그룹으로 '선발'하여 진행됩니다.
  • 각 회차는 [세션, 실습, 과제]로 진행됩니다.
  • 각자 개인 노트북을 지참해야 합니다.
  • 라이노, 그라스호퍼, 파이썬, fologram, 슬랙을 사용합니다.

 

워크숍 과정

  • 사전 과제: python 설치, 데이터 타입, 코드 작성 요령
  • 컨셉과 크기
  • fologram으로 AR 활용하기
  • 면적표 만들기
  • 공간의 정량적 분석(space syntax)
  • 환경의 정량적 분석
  • API 활용하기 

건축 컴퓨테이션 건축 컴퓨테이션 워크숍

  • 행사 유형: 무료, 오프라인
  • 행사 일시: 2025년 2월 3일 오후 7:30
  • 신청 시작: 2024년 12월 16일 오후 2:38
  • 신청 종료: 2025년 1월 15일 오후 5:00
  • 오프라인 정원: 30명

수업 개요

  • 일정: 2025년 2월 3~20일 (6회)
  • 시간: 월목 오후 7:30~9:3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통의동) 라운지
  • 대상: 대학(원)생
  • 구성: 사전 과제 + 세션 + 실습 + 단계별 과제
  • 강사: 이신후
  • 참가비: 20만원 (*신청은 무료)
  • 수업 및 신청: kim@junglim.org

참가비 입금 안내

  • 신청은 무료입니다.
  • 선발된 학생은 참가비 입금 후 등록 완료됩니다.
  • 선발된 학생에게는 등록 안내 메일 개별로 보내드립니다.
  • 입금계좌: 당사자에게 별도 안내드립니다.

 

취소 안내

  • 신청 취소는 X표 누르고 비밀번호 입력하면 됩니다.
  • 등록 완료 이후 취소 시에는 별도의 취소·환불신청서를 보내드립니다.

 

강사 소개

이신후 -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수석 졸업했고, 금속공예과, 조소과를 부전공했습니다. 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에서 건축가로서 경력을 쌓았고, 그 후 개발자로 전향하여 프롭테크 스타트업 제너레잇과 에디트콜렉티브에서 미국과 한국의 설계 자동화 프로그램들을 개발했습니다. 2024년 옵티콘을 설립하여 '기술과 건축의 실질적 결합'을 목표로 회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