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미디어 워크숍
건축을 중심으로 이야기(story)를 생산하는 수업입니다. 글쓰기(writing), 취재(reporting), 편집(editing), 발행(publishing)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생산의 실제를 개념적으로 익히고 실습합니다. 글은 생각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일차적인 미디어입니다. 취재, 편집, 발행은 모두 글쓰기를 바탕으로 합니다. 본 워크숍에서는 글쓰기와 원고화, 글쓰기에 수반되는 작업, 쓴 글을 다듬고 내보내는 일을 실습, 강의, 피드백을 통해 실질적으로 배웁니다. 건축 이야기의 출발점인 건축물 답사(무엇을 볼 것인가)와 건축가 인터뷰(무엇을 물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함께 공부합니다. 그 과정에서 건축 분야의 정보, 글, 콘텐츠 생산의 기본 기술을 복합적으로 이해하고, 확장된 개념의 퍼블리싱의 방식을 같이 모색해볼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수업 계획
파트 | 강사 | 사전 과제 | 강의 내용 |
글쓰기 | 박세미 | 본인 작업 설명문(800자) | 라이팅: 생각을 글로 옮기기 |
기획과 취재 | 심미선 | 답사, 기사 초안(300자), 질문(3개) | 리포팅: 기획과 섭외, 답사와 인터뷰 |
편집자와 편집 | 김상호 | 원고 편집, 본인 포트폴리오 | 에디팅: 글 만들기와 지면 편집 |
건축 편집 | 박세미, 김상호 | 건축책 브리프 | 에디팅: 건축 콘텐츠의 내용과 형식 |
- 사전 과제들은 해당 수업 1주일 전에 제출 받고, 강사의 프리뷰를 거쳐 수업 시간에 피드백을 공동으로 진행합니다.
- 각 회차 기본 진행: 개론 강의(30분) + 과제 리뷰(각 5분씩, 총 70분) + 토론/문답(20분)
건축 미디어 건축 미디어 워크숍
- 행사 유형: 유료, 오프라인
- 행사 일시: 2024년 1월 25일 오후 5:00
- 신청 시작: 2023년 12월 1일 오전 8:00
- 신청 종료: 2024년 1월 12일 오후 5:00
- 오프라인 정원: 14명 / 대기 정원: 8명
수업 개요
- 일정: 2024년 1월 25일 ~ 2월 15일 (4회)
- 시간: 목요일 오후 5:00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 라운지
- 대상: 대학(원)생
- 구성: 사전 과제 + 강의 + 과제 리뷰
- 강사: 박세미, 심미선, 김상호
- 참가비: 12만원
- 수업 문의: kim@junglim.org
- 신청 문의: sun@junglim.org
수강료 입금 안내
- 입금계좌: 하나은행 272-910032-72204
- 신청 후 12시간 내 입급해주세요.
- 이후 신청 추이에 따라 신청이 취소됩니다.
- 입금순이 아닌 신청순으로 등록이 진행됩니다.
- 신청 정보가 불명확하면 등록이 보류됩니다.
- 입금 확인 후 등록이 완료됩니다.
- 대기자분은 순서대로 개별 안내를 기다려주세요.
취소 안내
- 신청 취소는 X표 누르고 비밀번호 입력하면 됩니다.
- 등록 취소 시에는 별도의 취소·환불신청서를 보내드립니다.
- 등록 취소는 신청 종료 시점까지 가능하며, 이후 취소·환불이 어렵습니다.
강의 소개
1. 글쓰기 / 박세미
건축을 설명하는 기본 매체 중 하나인 '글(텍스트)'의 역할을 알아봅니다. 사진, 도면, 렌더링 이미지에 의지하지 않고 글이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지 사례와 리뷰를 통해 알아봅니다.
- 사전 과제: 본인의 작업에 대한 설명문 (800자)
2. 기획과 취재 / 심미선
건축 미디어가 다루는 대상인 건축물과 건축가를 중심으로 기획과 취재의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봅니다. 기획, 자료조사, 인터뷰, 기사 작성 등 각 단계에 요구되는 실무적인 지식과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사례와 과제 리뷰를 통해 건축에 대한 관점과 질문을 벼리고, 기사의 최종 결과물을 예측해봅니다.
- 사전 과제: 건축물 답사 후 건축가 가상 인터뷰 이메일(+ 기사 초안, 질문 3개) 보내기
3. 편집자와 편집 / 김상호
편집자란? 편집이란? 건축편집이란? 이 세 가지를 공부합니다. ‘난 어쩌다 편집자가 되었는가’에서 시작해서 일반 편집자와 건축 편집자는 무엇이 같고 다른지 소개합니다. 일반적인 편집의 프로세스를 해체해서 설명하고 그 기준과 규약은 어떻게 세우는지 공부합니다. 그리고 건축 편집의 특수한 측면이 무엇이며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고 실습해봅니다.
- 사전 과제: 앞선 1회차 글쓰기 수업의 과제를 서로 교환하여 편집
- 선택 과제: 본인 포트폴리오를 (레이아웃 중심으로) 편집하여 제출(pdf)
4. 건축 편집 / 박세미 + 김상호
건축책에서 내용과 형식은 어떻게 결합될까요? (박세미) 기획과 편집의 관점에서 다양한 건축책의 사례를 살펴보고, 책의 내용과 형식 관계를 분석해봅니다. (김상호) 『건축신문』의 변형 과정을 소개하고, 미디어에 따라 같은 소스가 어떻게 다른 형식으로 편집되는지 살펴봅니다. (*과제는 a, b 중 선택)
- 사전 과제 a: 잘 편집된 건축책을 한 권 선정, 분석한 브리프(300자) 제출
- 사전 과제 b: 건축 원고를 제한된 지면/화면/타임라인 내에 편집하는 계획서(ppt 혹은 스크린샷) 제출
강사 소개
박세미
전 『SPACE(공간)』 선임기자였으며, 현재 건축과 책을 중심으로 기획, 편집, 출판 등의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건축전문지에서 특집 기획을 주로 맡아 진행했으며, 단행본 『절두산 순교성지의 건축기록』(2021), 『BCHO Partners』(2024 출간 예정) 등의 편집을 맡았습니다. 201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시집 『내가 나일 확률』, 『오늘 사회 발코니』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젊은 모색》(국립현대미술관), 《전자적 숲; 소진된 인간》(국립현대미술관) 등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글쓰기를 전개해가고 있습니다.
심미선
편집자. 건축을 공부했으며, 건축적 사고의 표현 방식과 매체에 관심이 있습니다.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미디어 파트 실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SPACE(공간)』 기자로 일했고, 출판 브랜드 '공간서가' 런칭과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2014), 『한국 현대건축 평전』(2015) 출판 기획과 편집을 담당했습니다. 2018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아모레퍼시픽의 건축』(2018) 등에 편집자로 참여했습니다.
김상호
편집자 겸 기획자로 건축을 접근 가능한 문화로 전달하는 일을 해오고 있습니다. 현재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포럼&포럼> 기획, <탈건학부> 운영, 『건축신문』 편집을 맡고 있습니다. 『다큐멘텀』 창간 편집장을 맡았고, 『공간』 기자로 일했습니다. 2018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국가 아방가르드의 유령》, 《상상의 항해》(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 공공미술 프로젝트 <서울은 미술관>(2016) 등에 편집자 및 기획자로, 『건축, 전시, 큐레이팅』(마티, 2019)에 필자로 참여했습니다.